열반사단열재


제품규격
좌/우로 스크롤하세요.
제품명 | 기능 | 규격 | 제품의 용도 | ||
---|---|---|---|---|---|
두께 | 폭 | 길이 | |||
21T | 저방사 단열재 (Low-Emissivity) |
21㎜ | 1M | 15M | 건축용, 공업용(석도, 신축건물, 리모델링, 대리석, 적벽돌, 사이딩, 외, 중, 내단열재) |
30T | 30㎜ | 1M | 12M | ||
40T | 40㎜ | 1M | 10M | ||
50T | 50㎜ | 1M | 8M | ||
60T | 60㎜ | 1M | 7M | ||
80T | 80㎜ | 1M | |||
100T | 100㎜ |
단열재별 두께 및 기대효과
건축물의 중부지역 측벽기준 열관류율 0.27(W/㎡.K) 기준 상대비교
※ 단열재 비용 증가 대비 con’c / 철근 비용 절감으로 전체 20% 이상의 비용 감소 효과
열반사단열재 현장 적용 상세도
- 판넬
- 대리석
- 조적
단열재 관련 기준
지역별 건축물부위의 열관류율 및 단열재 두께
( 열관류율 단위 : W/m.k, 두께단위 : mm )
좌/우로 스크롤하세요.
건축물의 부위 | 중부지역 | 남부지역 |
---|---|---|
두께 | 두께 | |
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| 120 | 90 |
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| 80 | 60 |
외기에 직접 면하는 경우 | 180 | 145 |
외기에 간접 면하는 경우 | 120 | 100 |
단열재의 등급 분류
좌/우로 스크롤하세요.
등급분류 | 열전도율의 범위 (KS L 9016 또는 KS F 2277)에 의한 20 5 시험조건에 열전도율 |
KS M 3808, 3809 및 KS L 9102에 의한 해당 단열재 및 기타 단열재 |
---|---|---|
가 | 0.034 이하(W/mk) | 압축 보온판 특호, 1호~3호 |
비드법 보온판 2종 1호~4호 | ||
경질 우레탄폼 보온판 1종 1호~3호 및 2종 1호~3호 | ||
그라스울 보온판 48K, 64K, 80K 96K, 120K | ||
기타 단열재로서 열전도율이 0.034 W/mk 이하인 경우) |
관계 법령
좌/우로 스크롤하세요.
지역별 건축물 부위의 열 관류율 | 국토 해양부 고시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[별도1] |
---|---|
단열재 등급 분류 |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[별도2] |
단열재 두께 | 국토 해양부 고시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 설계 기준 [별도3] |
비고 |
중부지역 서울특별시, 인천광역시, 경기도, 강원도(강릉시, 동해시, 속초시, 삼척시, 고성군, 영양군 제외), 충청북도(영동군 제외), 충청남도(천아시), 경상북도(청송군) |
남부지역 부산광역시, 대구광역시, 광주광역시, 대전광역시, 울산광역시, 강원도(강릉시, 동해시, 속초시, 삼척시, 고성군, 영양군), 충청북도(영동군), 충청남도(천안시 제외), 전라북도, 전라남도, 경상북도(청송군 제외), 경상남도, 세종특별자치시 |
열반사 단열재 열 흐름
- ① 벽체에서의 열의 흐름
- ② 바닥에서의 열의 흐름
- ③ 지붕에서의 열의 흐름
열반사 단열재 열 흐름
- ① 열반사 단열재
- ② 일반 단열재
시공사례